딤영역
로딩이미지 캐릭터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페이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딤영역

고객님의 안전한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로그인 후
30분간 사용이 없으실 경우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아웃을 원하시지 않으시면 [로그인 연장]을
클릭해주세요

공정한 경기를 위한 눈과 귀,
경정 심판판정

공정한 경기 운영을 위해선 경정 심판이 필요합니다.

공정한 경기 운영을 위해 경정에는 엄격한 규칙과 이를 집행하는 심판이 존재합니다. 심판판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 경주에 중대한 지장이 있다고 심판장이 판단하는 때에는 재출발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스타트 경주의 경우, 선수는 출발기에 모터보트를 고정시켜야 한다.
    • 플라잉스타트 경주의 경우, 선수는 계류장을 떠나 대기수면으로 나가야 한다.
    • 출발피트(발주시)상황의 이미지
      01 출발피트(발주시)상황
      • 계류기 고장 등으로 인해 모터보트가 신속하게 계류장을 떠날 수 없는 경우
      • 온라인스타트: 정상(녹색등), 재출발(적색등) 표시
    • 출발피트(발주後)상황의 이미지
      02 출발피트(발주後)상황
      • 기상악화(강풍)로 인해 모터보트가 전복되어 항주불능 또는 항주곤란이 발생한 경우
      • 해당 호정은 출주제외 되며 재출발시킴
    • 대기행동 상황의 이미지
      03 대기행동 상황
      • 대기행동 중 수상시설물(100m폴) 파손한 경우
      • 해당 호정은 출주제외 없이 재출발시킴
    • 대기행동(진입前상황)의 이미지
      04 대기행동(진입前상황)
      • 대기행동(대기항주, 진입항주) 중 모터 이상 등으로 인해 모터보트가 정지되어 항주불능된 경우
      • 경주중지 후 재출발시킴
  • 대기행동이란 계류장을 떠나서 출발선을 통과하기 전까지의 모터보트 행동으로 대기항주와 진입항주로 이루어집니다.

    • 대기항주 : 모터보트가 계류장을 떠나 출발선에 정면으로 향하기까지의 항주를 말합니다.
    • 진입항주 : 대기항주 직후부터 출발하기 전까지의 항주를 말합니다.
    • 대기행동 시 위반행위 : 대기행동 시 다른 모터보트에 피해를 준 경우 등이 있습니다.
  • 대기행동이란 계류장을 떠나서 출발선을 통과하기 전까지의 모터보트 행동으로 대기항주와 진입항주로 이루어집니다.

    • 온라인스타트경주 출발은 출발기의 기계장치가 동시에 풀려 계류장을 출발 시 성립됩니다.
    • 플라잉스타트경주 출발은 0초선과 1.0초선의 슬릿선을 기준으로 판정하게 됩니다.
      사전출발 : 출발시각 이전에 통과한 때를 말함
      출발지체 : 출발시각부터 1.0초를 초과하여 출발선을 통과한 때를 말함
      사전출발, 출발지체 선수는 출주에서 제외되며, 제30조를 적용하여 일정기간 출전정지 됨
    출발선에서의 외압/출발지체/사전출발/유효를 구분한 이미지
  • 도착은 선수가 모터보트를 타고 결승선을 통과하여야 하며 그 순위는 모터보트의 한 끝이 결승선을 통과한 순서대로 확정됩니다.

    • 1착의 선수가 결승선에 도착한 시각으로부터 30초 이내에 결승선에 도착하여야 하며, 1착 선수가 결승선에 도착한 시각 으로부터 30초의 제한시간 내에 도착하지 못할 것으로 심판이 판단한 경우는 실격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 접촉금지란, 직선항주 중이나 턴-마크 선회 중에 실속 등으로 인해 다른 모터보트와 추돌(접촉)하여 피해를 준 경우를 말합니다.

    • 실속 : 모터보트가 캐비테이션, 엔진스톱 등에 의해 일반적인 속도보다 현저히 속도가 줄어든 경우를 말한다. 또한 전복, 침몰, 낙수로 인해 다른 모터보트를 방해한 경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추돌 : 피항할 수 있는 거리 간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모터보트와 접촉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방향전환이란 2척 이상의 모터보트가 *접근하여 나란히 달리고 있을 경우 다른 모터보트의 측면으로 방향전환 함으로써 진로를 방해하거나 피해를 준 경우를 말합니다.

    • 사행(코스변경) 상황의 이미지
      01 사행(코스변경) 상황
      • 직선주로에서 1호정이 사행, 코스를 변경하면서 후속 6호정의 진행을 방해하여 피해를 준 경우
    • 외압 상황의 이미지
      02 외압 상황
      • 직선주로에서 4호정의 외압으로 나란히 달리던 3호정의 진행을 방해하여 피해를 준 경우
  • 턴-마크를 회전한다는 것은 모터보트의 중심이 턴-마크의 중심을 도는 것을 말합니다. 모터보트는 턴-마크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합니다. 2척 이상의 모터보트가 동시에 턴-마크를 도는 경우에는 바깥쪽의 모터보트는 안쪽의 모터보트에 안전한 공간을 주어야 합니다.

    턴-마크를 회전 상황의 이미지
    • 선회 시 1호정이 턴-마크를 접촉하여 후속 3,5,4호정에 피해를 준 상황
  • 사고정

    • 경주 중 전복, 침몰, 고장, 선수부상, 낙수 등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항주할 수 없는 모터보트를 사고정이라 합니다.

    턴-마크 부근에 구조정이나 사고정이 있는 경우

    • 모터보트는 구조정이나 사고정의 바깥쪽을 항주해야 하며 다만, 바깥쪽에 안전한 거리 간격이 없는 경우는 심판의 지시에 따라 항주하여야 합니다.

    구조정과 사고정이 있는 경우의 위반행위

    • 구조정이나 사고정과 안전한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고 항주한 경우
    • 턴-마크 부근에서 구조정이나 사고정의 바깥쪽을 항주해야 할 때 안쪽으로 항주한 경우
    • 또는, 안쪽을 항주해야 할 때 바깥쪽으로 항주한 경우
    • 그밖에 공정하고 안전한 경주에 지장을 준 경우
    • 위험지역과 경합지역의 예시 이미지
      • 사고정 발생 시에는 센터 폴을 중심으로 사고정 발생지역을 위험지역으로 사고정이 없는 지역을 경합 지역으로 구분하며, 위험지역에서는 순위변경을 할 수 없으며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항주해야 한다.
    • 안전주행 위반 시의 이미지
      • 위험지역에서 나란히 진입하는 경우 안쪽호정이 선행정이 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단, 바깥쪽 호정의 선단과 후단의 중심선이 안쪽호정보다 앞선 경우 바깥쪽 호정을 선행정으로 합니다.

    사고지역에서 안전경주 준수원칙

    • 구조정의 항행 및 구조작업 등으로 인해 경주중인 모터보트가 불리한 상황에 놓인 경우에도 해당 선수는 이의를 제기할 수 없습니다. 또한, 사고지점 통과시에 선행정을 추월하여 착순이 변경이 있을 경우에는 순위변동은 인정되지만 해당 행위에 대한 엄격한 위반행위 제재 및 선수제재양정기준에 따라 별도의 제재가 부여 됩니다.

심판실

스탠드 중앙의 가장 높은 위치에서 코스를 내려다보고 있는 곳에 심판실이 있습니다. 스타트 판정, 실격 및 경주위반 등의 판정, 착순판정 등을 심판실에서 합니다.

출발 판정

경정 경주의 출발과 착순 판정은 이동하는 피사체(모터보트)를 촬영하고 기록하는 라인스캔 카메라를 사용합니다. 출발판정은 출발 시각 1초 전부터 2초 후까지 총 3초간 1/2000초 간격으로 촬영합니다.

정상출발 판독 사진

정상출발 판독 사진

사전출발 (F) 판독 사진

사전출발 (F) 판독 사진

출발지체 (L) 판독 사진

출발지체 (L) 판독 사진

착순 판정

착순 판정은 제1착의 선수가 결승선 통과 전부터 마지막 선수가 결승선을 통과할 때까지 1/2000초 간격으로 촬영하며 필요 시 착순 영상을 전광판에 표출합니다.

착순 사진

착순 사진

위치별 심판장비 현황

심판장비가 있는 위치 / 중앙심판실, 2코너, 발주대, 1코너

중앙심판실

자동경주운영장비, 주심판제어기, 부심판제어기, 플라잉판정장비, 착순판정장비, 대시계제어기, 소개항주측정기, 레이스카운트, 표시제어기, 레이스진행모니터링시스템, 심판전용카메라 조작기, 조작설비, 감시설비, 자동제어설비

발주대

대시계, 체커등, 삼색신호등, 실격, 결장표시등, 야간경주용 LED조명시스템 등

1·2코너 신호장비

정상출발표시등, 위험신호등, 항주지시등, 심판전용카메라

소개항주 자동 측정장비

소개항주 자동 측정 장비는 중앙심판실과 2코너 심판탑에 일직선상으로 150m의 거리를 레이저 센서를 사용해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식으로 모터보트가 지나갈 때 보트를 감지하여 타임을 계측하게 됩니다.

소개항주 자동 측정장비 약도. 소개항주 자동 측정장비 약도.

플라잉·착순판정 장비

플라잉판정장비 기능

플라잉판정 장비는 모터보트가 대기행동을 마치고 출발선을 통과한 직후 라인스캔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확인하여 출발 위반 여부를 판정하고 스타트타임을 측정 게시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대시계에서 1초전 신호를 받아 3초간 촬영되고 있습니다.

플라잉 장비로 보는 이미지

착순판정장비 기능

착순판정장비는 모터보트가 결승선을 통과한 후 라인스캔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확인하여 착순, 경주기록, 착순결과표 등을 측정 게시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제1착의 선수가 결승선 통과 전부터 마지막 선수가 결승선을 통과할 때까지 1/2000초 간격으로 촬영되고 있습니다.

착순판정장비로 보는 착순 이미지
라인스캔카메라의 원리
  • 플라잉 · 착순판정카메라(라인스캔카메라)는 일반카메라와 달리 셔텨 대신 슬릿(가는 틈)을 통해 출발 · 결승선을 라인단위로 스캔하여 이동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기록하는 카메라입니다. 출발 · 결승선만을 연속으로 촬영하여 하나의 사진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모든 이미지는 출발 · 결승선을 통과할 때의 모습이며, 출발 · 결승선이 됨을 의미합니다.
  • 라인스캔카메라는 경마, 경륜, 육상 등의 결승장면을 촬영하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담당자
경정심판팀